윤리적 패션이란

KEFN


회원사 가입

ETHICAL FASHION


‘윤리적 패션’은 옷의 시작과 끝, 

그리고 지속가능성을 생각하는 일이다.

윤리적 패션은 패션산업을 구성하는 디자인, 생산, 판매, 구매, 폐기의 전 과정에서 제기되는 열악한 작업 환경과 노동력 착취, 공동체 파괴, 환경오염, 동물 학대와 같은 문제의 해결점을 패션산업에서 찾아내어, 보다 공정하고 지속가능한 사회 실현에 기여하는 패션을 의미합니다.


유행의 변화가 급속도로 빨라지면서 그 트렌드에 맞춘 패스트 패션의 환경 및 사회문제가 지적되고 그 대안으로 슬로우 패션의 필요성이 부각되면서, 화려함에 가려진 패션 산업이 가진 환경과 노동문제에 주목하게 되었습니다. 수년 전부터 한국은 물론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형태로 윤리적 패션 사업 영위 및 활동이 시작되었으며 환경 파괴를 최소화하고자 하며 윤리의식과 공정이 살아있는 기업문화를 조성하고, 동시에 소비자들의 윤리적 소비문화가 형성되고 있습니다.


우리는 윤리적 패션 소비문화를 더욱 활성화 하고 정착시키기 위해 윤리적 패션을 다음과 같은 범주로 윤리적 패션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패션은 우리의 ‘의, 식, 주’에서 중요한 부분으로 

우리는 모두 옷을 입는 사람입니다. 

사회적인 문제 해결을 위한 

윤리적 패션 문화를 정착하기 위해서는 

우리 모두가 함께 바뀌어야 합니다. 


01. 

Environment Issue


환경적 문제

For a Sustainable Environment

원료에서 제품의 수명이 다할 때까지 

지속가능한 패션을 책임지기 위해 노력합니다.

패션 산업에서 자연 자원, 제품 소재, 생산 방식, 제품 포장, 폐기물과 오염, 동물권, 비건, 환경·생태 친화, 리사이클, 업사이클링 등 환경과 관련된 문제에 집중합니다.


02. 

Social Issue


사회적 문제

Ethical Behavior for an Ethical Fashion Culture

우리는 우리의 행동에 대해 더 큰 책임이 있다는 것을 믿고,
더 나은 미래를 위해 행동하고자 합니다.

패션 산업에서 모든 노동자의 임금, 정규직 고용, 강제 및 담보 노동, 노동시간, 아동 노동, 지역사회 순환 체계 등 사회적 문제에 집중합니다


03. 

Economy Issue


경제적 문제 


For the Symbiosis of Fashion Industry People

우리는 패션 산업관계자의 공생을 위해
 윤리적 소비를 지향하며 함께 성장하고자 도모합니다.

패션 산업에서 공정무역, 국제 개발 및 국제 무역, 공생을 위한 경제 성장,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등 경제적 문제에 집중합니다.


지구의 생태 위기에 대한 우려는 대표적인 오염 산업으로 꼽히는 패션 산업의 문제의식으로 확대되었습니다. 

환경에 대한 이슈가 대두되면서 지속가능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고 패션 기업은 물론 

일반 소비자들도 패션의 원료에서 폐기까지의 전 과정에서 지속가능성을 위해 힘쓰는 브랜드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고, 

소비자는 지속가능을 추구하는 패션 제품을 사용함으로써 그들의 행동을 지지하는 움직임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이런 지속가능한 윤리적 패션을 위한 행동은 2015년 UN총회에서 결의한 ‘지속가능한 개발 목표’, SDGs(Sustainable Development Goals)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2015년 UN회원 각국 정상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2030년까지 달성해야 할 17개 목표를 채택합니다. SDGs는 빈곤, 불평등, 기후, 환경 악화, 정의와 같은 보편적이고 불가분 관계에 있는 의제를 포괄하는데 이는 패션 산업의 환경, 사회 문제와도 맞닿아 있습니다.


 SDGs는 다음과 같은 구체적 좌표를 제시하고 있으며 패션 산업은 그간 야기해온 사회적·환경적 영향을 최소화하고 인류 공동의 미래를 위한 지속가능한 윤리적인 패션 혁명의 길에 동참하고자 합니다.

패션 산업에서의 사회적 이슈인 양성 평등(SDS5), 빈곤퇴치(SDG1)는 SDGs와 직접 연관되어 있습니다. 또한 저임금과 열악한 노동환경 문제(SDG8)는 패션 산업에 연관된 모든 노동자의 근무 조건을 개선하고자 하는 목표와 같습니다. 

 또한 패션 산업에서의 환경적 이슈는 물 사용의 효율(SDG6), 제품을 생산하는데 있어 막대한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패션 산업의 기후에 대한 책임(SDG13)과 화학물질로 인한 오염, 폐수 처리의 문제, 마이크로 플라스틱 같은 해양오염 문제(SDG14)를 해결하는데 패션 산업도 동참해야 하는 목표입니다. 

 더불어 패션 산업으로 지역 사회와 공생(SDG11)을 도모하며, 윤리적 가치를 추구하며 제품을 생산하는 패션 기업과 윤리적 소비를 지향하는 소비자를 위한 생산과 소비(SDG12)가 지속되기 위해서는 정부·민간·시민사회 모두의 협력(SDG17)이 필요할 것입니다. 

 이는 결과적으로 패션을 대하는 인식과 문화가 변화하기를 바라는 것이며 패션에 관련된 모든 종사자 그리고 모든 사용자를 포괄하는 지구촌 모두가 건강하고 행복한 삶(SDG3)을 지속적으로 누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지속가능하고 윤리적인 패션 산업의 성장을 위해서는 정부와 산업, 시민 사회 모두의 협력이 필요합니다. 

KEFN은 대한민국의 지속가능한 윤리적 패션 문화를 바꾸는데 앞장서겠습니다.

지속가능한 생활과 보다 바람직한 패션 문화를 만드는 활동에 동참해주세요.